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금정구 제2선거구

덤프버전 :

||
파일:금정구_제2선거구8.png
선거인 수96,750명 (2022년)
상위 행정구역부산광역시
관할 구역
[ 펼치기 · 접기 ]
금정구 일부
장전1동, 청룡노포동, 남산동, 구서1동, 구서2동, 금성동
시의원
파일: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.svg

이준호 (초선)




1. 개요[편집]


부산광역시의회의 선거구로 부산광역시 금정구의 서부 지역을 관할한다.

보수 우위인 부산 안에서도 손꼽히는 수준으로 국민의힘 지지세가 높은 편이다. 지금은 비록 과거형이지만 김진재-김세연 부자가 금정구 국회의원을 도합 9선을 지낼 정도로 막강한 조직력을 보여주기도 했다. 더불어민주당이 그나마 기댈 수 있는 곳이 중산층대학생 정도인데 전자는 부동산 실책으로, 후자는 젠더 갈등으로 표를 상당수 날리면서 더 힘든 상황이 되었다. 그래도 자유한국당이 탄핵의 강을 못 건너고, 홍준표 대표가 막말을 일삼던 시절인 7회 지선때만큼은 더불어민주당이 승리하기도 하였다.

2. 역대 선거 결과[편집]


대수당선자당적임기비고
금정구 제3,4선거구
제2대박재성
ta-hash-start=w-34766cf64e355bdde469d857556a409c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1995년 7월 1일 ~ 1998년 6월 30일[1]
고봉복[2]
제3대박재성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1998년 7월 1일 ~ 2001년 3월 9일[3][4]
장성수2001년 4월 27일 ~ 2002년 6월 30일
고봉복1998년 7월 1일 ~ 2002년 6월 30일[5]
금정구 제2,3선거구
제4대원정희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2002년 7월 1일 ~ 2006년 6월 30일[6][7]
고봉복2002년 7월 1일 ~ 2006년[8][9]
금정구 제1,2선거구
제5대백종헌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2006년 7월 1일 ~ 2010년 6월 30일[10]
최영남[11]
제6대백종헌2010년 7월 1일 ~ 2014년 6월 30일[12][13]
김기범[11]
제7대백종헌
ta-hash-start=w-8f118ab2a5c0d99362fb67e29856acab[[파일: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.svg
2014년 7월 1일 ~ 2018년 6월 30일[12]
박성명[11]
제8대제대욱
파일: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.svg

2018년 7월 1일 ~ 2022년 6월 30일[12]
박인영[11]
금정구 제2선거구
제9대이준호
파일: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.svg

2022년 7월 1일 ~ 현재[14]

2.1.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금정구 제3선거구
장전1동, 장전2동, 장전3동, 금성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박재성(朴宰成)9,6211위

ta-hash-start=w-3a0844cee4fcf57de0c71e9ad3035478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42.73%당선
2이동명(李東明)5,0003위


22.21%낙선
3남인희(南仁熙)1,8644위

무소속

8.28%낙선
4조말래(趙末來)6,0262위

무소속

26.76%낙선
선거인 수35,078투표율
66.78%
투표 수23,437
무효표 수926

금정구 제4선거구
노포동, 청룡동, 남산동, 구서1동, 구서2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고봉복(高奉福)21,3961위

ta-hash-start=w-bc438e29c3a8918daa0dc2ed43fef728[[파일:민주자유당 글자.svg
49.12%당선
2신용재(辛容宰)12,6682위


29.08%낙선
3송진형(宋鎭炯)9,4873위

무소속

21.78%낙선
선거인 수67,580투표율
67.00%
투표 수45,280
무효표 수1,729

2.2.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금정구 제3선거구
장전1동, 장전2동, 장전3동, 구서1동, 금성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박재성(朴宰成)13,545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63.66%당선
4성호상(成鎬相)7,7292위

무소속

36.33%낙선
선거인 수48,986투표율
45.70%
투표 수22,389
무효표 수1,115

금정구 제4선거구
노포동, 청룡동, 남산동, 구서2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고봉복(高奉福)15,5801위

파일: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(1997~2004).svg

61.93%당선
4박선호(朴善浩)9,5752위

무소속

38.06%낙선
선거인 수57,510투표율
45.76%
투표 수26,319
무효표 수1,164

2.3.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금정구 제2선거구
부곡2동, 부곡3동, 청룡노포동, 선두구동, 남산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원정희(元井喜)18,7661위
71.76%당선
3김부돌(金扶乭)3,0803위
11.77%낙선
4김달수(金達守)4,3042위
16.45%낙선
선거인 수68,679투표율
39.68%
투표 수27,256
무효표 수1,106

금정구 제3선거구
장전1동, 장전2동, 장전3동, 구서1동, 구서2동, 금성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고봉복(高奉福)16,4261위
62.92%당선
3최영남(崔永男)9,6802위
37.07%낙선
선거인 수67,817투표율
40.11%
투표 수27,205
무효표 수1,099

2.4.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금정구 제1선거구
서1동, 서2동, 서3동, 서4동, 금사동, 부곡1동, 부곡2동, 부곡3동, 부곡4동, 선두구동, 청룡노포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2백종헌(白宗憲)34,8321위
66.47%당선
6원정희(元井喜)17,5682위
33.52%낙선
선거인 수108,612투표율
49.53%
투표 수53,800
무효표 수1,400

금정구 제2선거구
장전1동, 장전2동, 장전3동, 남산동, 구서1동, 구서2동, 금성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2최영남(崔永男)35,4061위
72.62%당선
6박성철(朴聖哲)13,3482위
27.37%낙선
선거인 수100,664투표율
49.79%
투표 수50,130
무효표 수1,376

2.5.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금정구 제1선거구
서1동, 서2동, 서3동, 금사동, 부곡1동, 부곡2동, 부곡3동, 부곡4동, 선두구동, 청룡노포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백종헌(白宗憲)31,8261위
62.14%당선
7전태욱(全泰郁)19,3832위
37.85%낙선
선거인 수106,217투표율
49.79%
투표 수52,893
무효표 수1,684

금정구 제2선거구
장전1동, 장전2동, 장전3동, 남산동, 구서1동, 구서2동, 금성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김기범(金起範)25,4291위
51.47%당선
5김광희(金光熙)15,2972위
30.96%낙선
7백운전(白雲全)8,6793위
17.56%낙선
선거인 수97,637투표율
51.94%
투표 수50,720
무효표 수1,315

2.6.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금정구 제1선거구
서1동, 서2동, 서3동, 금사동, 부곡1동, 부곡2동, 부곡3동, 부곡4동, 선두구동, 청룡노포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백종헌(白宗憲)35,7311위
64.44%당선
3박명진(朴明陳)8,6563위
15.61%낙선
4김인철(金仁喆)11,0542위
19.93%낙선
선거인 수103,528투표율
55.36%
투표 수57,319
무효표 수1,878

금정구 제2선거구
장전1동, 장전2동, 장전3동, 남산동, 구서1동, 구서2동, 금성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박성명(朴星明)33,4851위
54.90%당선
3김태진(金泰振)9,9913위
16.38%낙선
4이일권(李一權)17,5092위
28.71%낙선
선거인 수108,610투표율
57.78%
투표 수62,764
무효표 수1,779

2.7.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금정구 제1선거구
서1동, 서2동, 서3동, 금사동, 부곡1동, 부곡2동, 부곡3동, 부곡4동, 선두구동, 청룡노포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제대욱(諸大旭)27,8511위
51.54%당선
2김성수(金盛壽)27,2142위
48.45%낙선
선거인 수98,835투표율
58.41%
투표 수57,736
무효표 수1,571

금정구 제2선거구
장전1동, 장전2동, 장전3동, 남산동, 구서1동, 구서2동, 금성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박인영(朴仁映)36,9841위
54.88%당선
2박성명(朴星明)28,0382위
41.60%낙선
6김태진(金泰振)2,3633위
3.50%낙선
선거인 수112,143투표율
61.43%
투표 수68,841
무효표 수1,456

2.8.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[편집]


금정구 제2선거구
장전제1동, 청룡노포동, 남산동, 구서1동, 구서2동, 금성동
기호이름득표수순위
정당득표율비고
1임성태(林成泰)16,4532위
33.82%낙선
2이준호(李俊虎)32,1851위
66.17%당선
선거인 수96,750투표율
51.54%
투표 수49,865
무효표 수1,227
전체 인구가 무려 13만 5000명을 넘기며 원도심 지역구와 격차가 3배 이상 나기도 하고, 이 지역구와 인구 격차도 4만 5000명 가량으로 꽤나 불균형하여 옆 지역구청룡노포동과 이 지역구의 장전2동의 관할 구역을 서로 맞바꿨다. 장전1동과 함께 민주당세를 받치던 동네가 넘어가면서 보수세가 옆 지역구와 별반 차이 없는 상황이 되었다.

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역 시의원인 박인영 전 의장은 이번 지방선거에 불출마하며 새 후보를 찾아야 한다. 임성태 시의회 의정자문위원이 단수공천을 받았다.

국민의힘에서는 박성명 전 시의원이 구청장 직에 도전하므로 새 후보를 찾아야 한다.[15] 다선거구[16]가 지역구인 이준호 구의원이 단수공천을 받았다.

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는 출마하지 않아 양당 1:1구도가 형성되었다.

개표 결과 국민의힘 이준호 후보가 2배에 가까운 격차를 만들며 이번 부산시의원 선거 최연소 당선인으로 이름을 올렸다.[17] 세부적으로 보면 이준호 후보는 대학생들이 주로 사는 원룸촌이 있는 장전1동에서 63.2%로 그나마 낮은 득표율을 올렸다. 나머지 동에서는 모두 더블 스코어차로 임성태 후보를 압도하였으며, 특히 청룡노포동에서는 71% 정도로 가장 높은 득표율을 올렸다. 다만 관외사전투표에서는 56.8% : 43.2%로 평상시 양상처럼 비교적 더불어민주당에게 우호적인 표심이 작용하여 비교적 격차가 좁았고, 이 덕분에 임성태 후보는 그나마 전체 결과가 더블 스코어 이상으로 벌려지는 것만큼은 막아냈다.


[1] 금정구 제3선거구 (장전1동, 장전2동, 장전3동, 금성동)[2] 금정구 제4선거구 (노포동, 청룡동, 남산동, 구서1동, 구서2동)[3] 뇌물 혐의로 시의원직 상실.[4] 금정구 제3선거구 (장전1동, 장전2동, 장전3동, 구서1동, 금성동)[5] 금정구 제4선거구 (노포동, 청룡동, 남산동, 구서2동)[6] 금정구 제2선거구 (부곡2동, 부곡3동, 청룡노포동, 선두구동, 남산동)[7] 1998년 11월 1일에 청룡동과 노포동이 청룡노포동으로 통합되었다.[8] 4회 지선 금정구청장 선거 출마를 위해 사직.[9] 금정구 제3선거구 (장전1동, 장전2동, 장전3동, 구서1동, 구서2동, 금성동)[10] 금정구 제1선거구 (서1동, 서2동, 서3동, 서4동, 금사동, 부곡1동, 부곡2동, 부곡3동, 부곡4동, 선두구동, 청룡노포동)[11] A B C D 금정구 제2선거구 (장전1동, 장전2동, 장전3동, 남산동, 구서1동, 구서2동, 금성동)[12] A B C 금정구 제1선거구 (서1동, 서2동, 서3동, 서4동, 금사동, 부곡1동, 부곡2동, 부곡3동, 부곡4동, 선두구동, 청룡노포동)[13] 2009년 1월 1일에 서4동이 서3동에 통합되었다.[14] 장전1동, 청룡노포동, 남산동, 구서1동, 구서2동, 금성동[15] 막상 경선에서 김재윤 전 구의회 의장에게 패했다.[16] 장전1,2,3동, 구서1동, 금성동을 관할하며, 2회 지선 당시 금정구 제2선거구와 관할 구역이 일치한다.[17] 1989년 12월 29일생으로 만 32세이다. 반면 최고령 당선인인 해운대구 제1선거구의 신정철 당선인은 1947년 4월 20일생으로 만 75세인데, 두 사람의 나이차는 무려 43세로 2배를 가볍게 넘는다.